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뉴스레터로 월 2천만 원? 대기업 퇴사 후 1인기업 성공기

by 머니살남 2025. 7. 26.
반응형

대기업을 박차고 나와 텍스트 기반 인플루언서로 월 2천만 원 매출을 일군 조시님의 이야기. 링크드인과 스레드, 뉴스레터를 중심으로 어떻게 수익화에 성공했는지를 생생하게 풀어냅니다. 이메일리스트의 힘과 콘텐츠 설계 전략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뉴스레터로 월 2천만 원? 대기업 퇴사 후 1인기업 성공기 - 관련 대표 이미지입니다.

대기업에서 1인 기업가로, 시작은 작은 뉴스레터였다

조시님은 SK텔레콤 UX 디자이너로 근무하다 퇴사 후 텍스트 기반 인플루언서로 전환했습니다. 처음부터 크리에이터를 꿈꿨던 건 아니었지만, 뉴스레터 실험을 통해 시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과감히 대기업을 떠났습니다. 첫 시작은 2023년 9월, 뉴스레터 발행이었고, 4개월 만에 수익화에 성공하면서 자신감을 얻게 되죠. 디자인을 넘어서 콘텐츠 제작, 기획, 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역량을 발휘하며, 지금은 1인 기업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 대기업 SK텔레콤 UX 디자이너 출신
  • 뉴스레터 실험 후 콘텐츠 시장 가능성 발견
  • 4개월 만에 수익화, 첫 매출 500만 원 달성
  • 창업의 두려움을 넘어 다양한 역할에 도전

구독자를 야금야금, 알고리즘 없는 뉴스레터 전략

뉴스레터는 SNS와 달리 알고리즘이 없어 직접 퍼트려야 합니다. 조시님은 초기에는 오픈채팅방, 슬랙, 커뮤니티 등에 꾸준히 공유하며 구독자를 확보했습니다. 특히 스타트업 미디어 '이오플레닝'에 글이 소개되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기도 했죠. 그렇게 모은 1천명의 구독자에게는 챌린지를 제안하며 첫 수익화를 시도했고, 35명이 당일 결제하면서 확신을 얻었습니다. 이후 더 높은 가격에도 반응이 좋아 이메일의 전환력을 실감하게 됩니다.

 

  • 알고리즘 없는 채널, 직접 배포 전략
  • 커뮤니티 활용 및 스타트업 미디어 소개
  • 1천명 확보 후 챌린지로 수익화 성공
  • 이메일 전환율, SNS 대비 10배 이상

이메일 리스트가 만드는 반복 수익 구조

한 번의 챌린지로 끝내지 않고, 반복 매출을 고민한 조시님은 유료 멤버십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월 구독 모델로 전환하며, 10만 원~15만 원 티어를 설정했고, 현재 약 230명의 유료 구독자를 확보한 상태입니다. 매달 신규 회원 모집과 이탈 방지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실험하고 있으며, 안정적 반복 매출(MRR)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고정 수익의 매력을 느끼며, 크리에이터로서 지속 가능한 모델을 구축해가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 유료 멤버십 전환으로 MRR 구축
  • 10만~15만 원 티어 설정, 230명 확보
  • 이탈률 관리와 신규 유입 전략 병행
  • 안정적인 반복 매출 시스템 확립

텍스트 기반 SNS, 링크드인과 쓰레드 활용법

조시님은 영상 기반 플랫폼보다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 링크드인과 쓰레드를 적극 활용합니다. 링크드인은 회사원 신분에서 시작해 인사이트 중심의 글로 1만 팔로워를 확보했으며, 쓰레드에서는 구조화된 글쓰기로 1.8만 팔로워를 얻었습니다. 링크드인은 긴 글(500~700자)이 효과적이고, 쓰레드는 짧은 단락을 시리즈로 엮어 흥미를 유도합니다. 동일한 콘텐츠를 양 플랫폼에 맞춰 재활용하며, 효율적으로 트래픽을 유도하고 이메일 리스트로 연결시키고 있습니다.

 

  • 링크드인: 긴 글 중심, 1만 팔로워 확보
  • 쓰레드: 단락 기반 글쓰기, 1.8만 팔로워
  • 콘텐츠 재활용으로 멀티 플랫폼 운영
  • SNS → 뉴스레터 전환 흐름 설계

누구나 가능한 뉴스레터 시작법과 실전 팁

조시님은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무료 플랫폼 ‘메일리’를 추천합니다. 유료 서비스보다 진입 장벽이 낮고, 꾸준히 10회 이상 발행한 사용자 비율이 0.3%밖에 안 될 만큼 지속성만 있어도 기회가 생깁니다. 주제 선정 시 본인의 직무 기반 니치한 주제로 시작하고, 반응을 보며 확장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이후 구독자 수 증가에 따라 탈플랫폼 또는 고급 뉴스레터 플랫폼인 고스트로 확장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초보자는 메일리 무료 플랫폼으로 시작
  • 최소 10회 발행, 지속성이 핵심
  • 직무 기반 니치 주제 선정
  • 구독자 증가 시 고급 플랫폼으로 확장

조시님의 여정은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텍스트 기반 창업의 좋은 예입니다. 작게 시작하되 꾸준히 실험하고 성장해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인사이트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자신만의 뉴스레터를 고민하고 있다면 지금이 바로 도전할 때입니다.

반응형

댓글